2023. 6. 18. 23:31ㆍ정책포털/정책뉴스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사이트에 등록된 정책뉴스, 카드, 한컷, 사실은 이렇습니다 등의 기사제목, 기사내용, 관련부처 등을 조회 합니다.
마음의 양식도 쌓고 먹거리 축제도 즐기고…“만원의 행복도”
글링크 :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916339&call_from=rsslink
6월 14일에 열린 대한민국 최대 서적 축제인 서울국제도서전에는 36개국에서 온 530여 명의 참가자들이 참여하였습니다. 이번 행사에서는 전시, 강연, 세미나, 그리고 다양한 이벤트 등 총 170개 프로그램이 제공되며, 출판사들이 준비한 독특한 행사, 프로모션, 선물 등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유명 작가들을 만나고 다양한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됩니다. 이외에도, 다른 두 축제도 소개되었습니다. 하나는 다양한 하이볼 칵테일과 길거리 음식을 즐길 수 있는 원주 하이볼 페스티벌이며, 다른 하나는 전통적인 한국 요리와 음악 콘서트, 전시 등의 다양한 이벤트가 열리는 춘천 막국수&닭갈비 축제입니다. 이외에도, 6월 중에 할인행사가 많으니 관광객들도 즐길만한 즐거운 행사입니다. 전반적으로, 이 문단은 축제와 그들의 즐거운 활동, 그리고 할인혜택에 대한 긍정적인 느낌을 전달하고 있습니다.
The Seoul International Book Fair, the largest book festival in Korea, was held on June 14th with over 530 participants from 36 different countries. A total of 170 programs were offered, including exhibitions, lectures, seminars, and various events. There were also many unique events, promotions, and gifts prepared by publishers. Visitors had the opportunity to meet famous authors and participate in a variety of activities. In addition, two other festivals were introduced - the Wonju Highball Festival, where visitors can enjoy various highball cocktails and street food, and the Chuncheon Makguksu & Dakgalbi Festival, which features traditional Korean cuisine, music concerts, exhibitions, and more. There are also many discount events in June, making it a great time for tourists to enjoy these fun festivals. Overall, this paragraph conveys a positive feeling about the festivals, their enjoyable activities, and the discounts available.
리더연구 및 선도연구센터로 세계 최고 수준 기초연구 육성
글링크 :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916445&call_from=rsslink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6월부터 시작된 2023년도 기초연구사업을 통해 총 1120개의 과제를 선정하고, 연구비 총 1221억 원을 지원합니다. 이번 연구사업은 국내 최고 수준의 연구자를 지원하는 대표적인 기초연구사업 중 하나로서, 기초연구는 국민 삶의 질 향상에 큰 기여를 하며, 또한 신산업 창출에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번 지원을 통해 국가는 기초연구 평가 및 관리 체계를 고도화하고, 국가 수요를 반영한 기초연구 확대 등 정책방향을 정립하여, 국가 경쟁력의 원천이 되는 과학적 기초를 제공하며, 국가가 세계 최고 수준의 기초연구 강국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입니다. 이러한 지원과 계획은 국가의 과학기술 분야 발전과 성장을 위한 긍정적인 투자와 개발 계획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국가가 기초연구를 더욱 강화하여, 다양한 분야에서의 혁신과 발전을 이룩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From June,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has selected a total of 1,120 projects and will provide a total of 122.1 billion won in research funds through the Basic Research Program for 2023. This research program is one of the leading basic research programs that supports the best researchers in the country and plays a significant role in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for citizens as well as contributing to the creation of new industries. Through this support, the government aims to enhance the evaluation and management system for basic research, establish policy directions that reflect national demands, and provide a scientific foundation for national competitiveness, in order to become the world's best basic research powerhouse. These investments and plans can be interpreted as positive investments and development plans for the advancement and growth of the country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We hope that the country will continue to strengthen basic research and achieve innovation and development in various fields in the future.
국토부, ‘택배차 강매사기 근절대책’ 추진…피해신고 센터 운영
글링크 :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916434&call_from=rsslink
8월 16일, 대한민국 토지교통부는 배송용 트럭 사기를 방지하기 위한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 사기꾼들은 청년 및 실직자들에게 잘 알려진 배송 회사에서 고수익 일자리를 보장한다며, 과도하게 고통을 받게 하고 비싼 가격으로 트럭을 구매하도록 속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부는 사이트 내에서 가짜 광고를 차단하고 상담 및 신고 전화번호를 마련하며, 정당한 배송 일자리를 찾을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 도입을 위해 민간 업계와 함께 협력합니다. 이는 취약한 취준생들을 이용하는 사기꾼들의 범죄적인 행위를 반영한 부정적인 신호입니다.
On August 16, the South Korean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nounced plans to prevent truck delivery scams. These scammers often target young people and the unemployed, promising high-paying delivery jobs through well-known delivery companies and then deceiving them into paying exorbitant prices for trucks. The government will block fake ads on websites and provide consultation and reporting phone numbers, as well as collaborate with private industry to introduce online platforms for finding legitimate delivery jobs. This reflects the criminal behavior of scammers who take advantage of vulnerable job seekers.
경영실적 부진 5개 기관장 해임 건의…성과급 삭감·반납
글링크 :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916441&call_from=rsslink
한국 정부의 공공기관 경영평가에서 최하 등급을 받은 4개 기관 중 5개 기관장에 대해 해임 건의하고, 15개 공기업에 대해 성과급 삭감이나 자율 반납을 권고했습니다. 이번 평가는 정책 방향을 반영한 첫 번째 평가로, 우수 19곳, 양호 48곳, 보통 45곳, 미흡 등급은 14곳, 아주 미흡 등급 4곳이었습니다. 이는 전년도보다 S등급과 A등급은 4곳이 줄고, C등급과 E등급은 각각 5곳과 1곳씩 늘어났습니다. 성과급 삭감이나 자율 반납을 권고한 기관들도 나왔지만, 이는 공공기관 경영의 개선을 위한 조치로 긍정적인 것으로 해석됩니다. 이번 평가 결과에 따라, 성과가 미흡한 기관들은 조속히 개선해야 하며, 성과가 우수한 기관들은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평가 결과와 조치는 공공기관의 경영 혁신과 효율성 향상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번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공공기관들은 더욱 노력하여 시민들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The heads of 5 out of 4 public institutions that received the lowest grade in the Korean government's public institution management evaluation were proposed for dismissal, and 15 public companies were recommended to have their performance bonuses reduced or returned voluntarily. This year's evaluation is the first to reflect policy direction, with 19 distinguished institutions, 48 good institutions, 45 average institutions, 14 inadequate institutions, and 4 very inadequate institutions. This is a decrease of 4 S-grades and A-grades from the previous year, and an increase of 5 C-grades and 1 E-grade. While some institutions have been recommended to have their performance bonuses reduced or returned voluntarily, this is interpreted as a positive measure for improving public institution management.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s of this evaluation, institutions with poor performance must improve quickly, while those with outstanding performance can receive rewards. These evaluation results and measures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innovative and efficient management of public institutions.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evaluation, public institutions must make greater efforts to provide better services to citizens.
원본 데이터 출처: 정책브리핑 www.korea.kr
'정책포털 >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10월 07일 정책포털 정책뉴스 (대한민국 정책 브리핑) (1) | 2023.10.08 |
---|---|
2023년 08월 26일 정책포털 정책뉴스 (대한민국 정책 브리핑) (1) | 2023.08.26 |
2023년 06월 15일 정책포털 정책뉴스 (대한민국 정책 브리핑) (0) | 2023.06.15 |
2023년 06월 09일 정책포털 정책뉴스 (대한민국 정책 브리핑) (0) | 2023.06.10 |
2023년 05월 31일 정책포털 정책뉴스 (대한민국 정책 브리핑) (0) | 2023.05.31 |